손에 닿으면

Touching 02:50, 2023



주변의 황량하고 오염된 환경에도 불구하고 아이는 외로운 나무에게 다가가 손을 뻗는다. 산업화와 자연 사이의 이러한 병치는 대기 오염 문제와 탄소 배출의 파괴적인 영향을 포함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강조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아이의 존재는 이전 세대의 행동으로 인해 암울한 미래를 물려받은 현세대를 상징한다. 그러나 외로운 나무는 이 암울한 환경에서 희망의 빛을 제공한다. 아이의 뻗은 손은 행동을 취하고 변화를 일으키며 자연과 손을 뻗어 연결하고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보다 환경 보호를 우선시해야 할 필요성을 상징한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행동을 하도록 관객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 변화를 만들어 미래 세대가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


Despite the desolate and polluted surroundings, the child in the video approaches to a lonely tree and reaches out. This juxtaposition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nature highlights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e are currently facing, including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and the devastating effects of carbon emissions. The presence of a child in a polluted environment symbolizes the present generation, who inherited a bleak future due to the behaviors of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lonely trees provide a light of hope even in these environment.

The child's reaching-out behavior symbolizes the need for us to make direct changes about the pollution and to prioritize natur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over short-term economic benefits. I hope that this work will raise the audience's awareness of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e are currently facing and act toward a sustainable future. It is up to us to make changes so that future generations can enjoy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손에 닿으면 Touching 02:50, 2023

주변의 황량하고 오염된 환경에도 불구하고 아이는 외로운 나무에게 다가가 손을 뻗는다. 산업화와 자연 사이의 이러한 병치는 대기 오염 문제와 탄소 배출의 파괴적인 영향을 포함하여 현재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 문제를 강조한다. 이러한 환경에서 아이의 존재는 이전 세대의 행동으로 인해 암울한 미래를 물려받은 현세대를 상징한다. 그러나 외로운 나무는 이 암울한 환경에서 희망의 빛을 제공한다. 아이의 뻗은 손은 행동을 취하고 변화를 일으키며 자연과 손을 뻗어 연결하고 단기적인 경제적 이익보다 환경 보호를 우선시해야 할 필요성을 상징한다.

 이 작품을 통해 우리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심각한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보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행동을 하도록 관객들에게 영감을 주기를 바란다. 변화를 만들어 미래 세대가 깨끗하고 건강한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우리에게 달려 있다.


Despite the desolate and polluted surroundings, the child in the video approaches to a lonely tree and reaches out. This juxtaposition between industrialization and nature highlights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e are currently facing, including the problem of air pollution and the devastating effects of carbon emissions. The presence of a child in a polluted environment symbolizes the present generation, who inherited a bleak future due to the behaviors of the previous generation. However, lonely trees provide a light of hope even in these environment.

The child's reaching-out behavior symbolizes the need for us to make direct changes about the pollution and to prioritize natur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over short-term economic benefits. I hope that this work will raise the audience's awareness of the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we are currently facing and act toward a sustainable future. It is up to us to make changes so that future generations can enjoy a clean and healthy environment.





쿤스트원 서울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162길 16

16, Gangnam-Dearo 162gil, Gangnam-Gu, Seoul, Korea


쿤스트원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20, 뮤지엄 원

20, Centum seo-ro, Haeundae-gu, Busan, Korea


뮤지엄원 문의 : 051-731-3302


(주)쿤스트원     CEO: 우주형 ㅣ Business License: 684-88-00335

Communication Sales Business Report: 2020-서울강남-01403 호

Tel. 02-541-6652 ㅣ Fax, 02-541-6653 ㅣEmail.artdirector@kunst1.co.kr 

Address: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162길 16, 1층 101호 쿤스트원



쿤스트원 서울
서울 강남구 강남대로 162길 16

16, Gangnam-Dearo 162gil, Gangnam-Gu, Seoul, Korea

쿤스트원 부산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센텀서로 20, 뮤지엄 원

20, Centum seo-ro, Haeundae-gu, Busan, Korea


뮤지엄원 문의 : 051-731-3302

(주)쿤스트원     ceo : 우주형  

business License : 684-88-00335     communication Sales Business Report : 2020-서울강남-01403호 

tel : 02-541-6652     Fax : 02-541-6653      email : artdirector@kunst1.co.kr

address : 서울특별시 강남구 강남대로 162길 16, 1층 쿤스트원